- [르포라이터 민병준의 향토기행] 울릉도 & 독도
- 대한민국 동쪽 끄트머리를 지키는 화산섬 형제
- 새벽 4시, 묵호항. 하늘엔 별이 총총하다. 풍랑주의보는 해제되었다. 바람이 수그러들긴 했어도 파도는 여전히 높다. 어제는 풍랑주의보 때문에 울릉도행 오전 10시 한겨레호가 뜨지 않았다. 발이 묶인 것이다. 2시간 뒤? 3시간 뒤? 풍랑주의보가 언제 해제될지 모르는 상황. 여객선터미널 근처에서 멀리 떠나지 못하고 가까운 추암해변 등을 얼쩡거리다 그렇게 하루를 꼬박 보내고, 어두컴컴한 새벽에 배를 타러 묵호항에 나온 것이다. 아무리 그렇지만, 군사훈련도 아닌데, 새벽 4시 출항이라니!
- ▲ 망향봉에서 내려다본 울릉도 풍광. 동해 한가운데에서 독도와 함께 대한민국 동쪽을 지키는 울릉도는 250만 년 전 화산 폭발로 생겨난 화산섬이다.
- 섬 여행은 기상상태가 좌우한다. 안개와 파도는 배를 부두에 묶어놓는 심술쟁이 형제다. 특히 파도는 고약한 녀석이다. 이 녀석이 몸부림치면 출항은 연기되고, 혹 부두를 떠났다 해도 배 안에서 내내 뱃멀미로 고통을 받아야 한다. 섬에 도착해서도 울렁증과 어지럼증으로 숙소에 반나절은 누워있어야 정신을 차릴 수 있다. 특히 울릉도와 독도는 동해의 먼 바다에 외롭게 떠있기 때문에 모든 게 기상상태에 달려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묵호에서 울릉도까지는 161km. 동국여지승람 등 옛기록을 보면 예전엔 순풍에 돛을 달고 울릉도까지 이틀이 걸린 거리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포항에서 7~8시간이 걸렸다. 오늘 길손이 겨우 잡아탄 한겨레호는 시속 41노트(1kn=1,852m)로 달리니 2시간20분 뒤면 울릉도에 도착할 수 있다. 거기에 배 흔들림을 잡아주는 멀미방지장치가 돼 있다고 하니, “세월 참 좋아졌다”는 소리가 나올 법하다.
- ▲ 울릉도 행남등대에서 저동항으로 이어지는 해안 산책로. 가파른 해벽을 따라가며 해안 절경을 즐기는 재미가 쏠쏠하다. (왼쪽) / 도동항에서 행남등대로 이어지는 해안 산책로의 해식 동굴. 이 구간에선 이런 해식 동굴을 여러 개 지난다. (오른쪽)
- 하지만 이렇게 파도가 심한 날엔 멀미방지장치도 그다지 소용이 없는가 보다. 승객들은 대부분 비닐봉지에 머리를 박고 기도를 한다. 길손도 마찬가지. 한겨레호는 예정대로 오전 6시20분에 울릉도 도동항에 도착했다. 그러나 그렇게 뱃멀미에 시달렸는데, 비록 양귀비가 눈앞에 서있다 해도 어찌 손을 내밀 수 있겠는가. 도동약수공원에서 톡 쏘는 탄산수를 벌컥벌컥 마시고 나니 그제야 울릉도의 아름다운 풍광이 길손의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다.
독도와 더불어 대한민국 동쪽을 지키는 든든한 수문장인 울릉도는 동해의 거센 파도와 바닷바람이 빚은 화산섬이다. 역사를 간단히 짚어보면, 지구는 46억 년 전 태양계의 수많은 미행성들이 충돌해 뭉치면서 탄생했고, 불덩어리였던 원시지구가 점점 식으면서 44억 년쯤 전엔 육지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29억 년 전 한반도가 태어났고, 오늘날처럼 자리가 잡힌 것은 1억5천만 년쯤 전이다. 당시 일본열도는 한반도에 붙어 있었다. 그러다 2천5백만 년쯤 전 일본열도가 떨어져나가면서 동해가 열렸다. 그리고 드디어 450만 년 전부터 250만 년 전 사이에 바다 속 화산이 폭발해 독도가 탄생했고, 250만 년 전엔 역시 화산폭발로 울릉도가 생겨났다. 울릉도·독도 형제 중 나이로 보면 독도가 형님인 셈이다.
- ▲ 망향봉에 설치되어 있는 독도전망대. 날이 맑으면 독도가 육안으로도 보인다. 우리 조상은 예로부터 독도를 울릉도에 속한 섬으로 여겨왔다.
- 그렇다면 현재 울릉도에서 가장 오래된생명체는 무엇일까. 그건 바로 도동항 가파른 바위벼랑에서 뱃멀미에 지친 길손을 내려다보던 향나무다. 높이 4m, 둘레 2m에 이르는 이 향나무의 수령은 2,000~2,500년으로 짐작하고 있다. 어떤 학자들은 5,000~6,000년 정도로 내다보기도 한다. 어쨌든 울릉도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이 향나무는 울릉도에 사람이 살기 이전부터 척박한 암벽에 뿌리를 내리고 오가는 이들을 묵묵히 지켜보고 있다.
사람들은 언제부터 울릉도에 살기 시작했을까. 학자들은 청동기시대나 철기시대 초기부터 울릉도에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현포·남서·저동 등에서 고인돌·무문토기·갈돌·갈판 등이 발견되었는데, 서울대학교 박물관에서 조사하고 1997년 출간한 ‘울릉도 지표조사 보고서’를 보면 울릉도에서 발견된 무문토기·신라토기·적갈색 토기 3가지 가운데, 무문토기는 기원전 3세기경의 것이고, 신라 토기는 6세기 중엽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으로부터 최소 2,300년 이전부터 울릉도에 사람이 살고 있었다는 얘기가 된다.
역사적인 기록은 512년(신라 지증왕 13) 강릉의 군주 이사부가 우산국(울릉도)을 정복하여 신라에 복속시키면서부터 등장한다. 삼국유사나 삼국사기에 적혀있는 기록을 정리해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 ▲ 톡 쏘는 맛이 일품인 도동약수. 옛날 왜군과 싸우던 장군의 갑옷에서 흘러내린 쇳물이라는 전설이 전한다. (왼쪽) / 도동약수공원에 세워져 있는 안용복장군의 기념비. 동래 출신인 안용복장군은 조선시대 울릉도와 독도를 드나들던 일본인들을 쫓아낸 분이다. (오른쪽)
- ‘강릉 동쪽 바다에 순풍으로 이틀 걸리는 곳에 울릉도가 있다. 이 섬은 둘레 2만6,730보다. 이 섬에 사는 오랑캐들은 바닷물이 깊은 것을 믿고 몹시 교만하여 조공을 바치지 않았다. 이에 왕은 이사부 장군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치게 했다. 이 때 이사부는 나무로 사자를 만들어 큰 배에 싣고 위협했다. “너희가 만일 항복하지 않으면 이 짐승을 놓아 버리겠다.” 이에 오랑캐들은 두려워하여 항복했다.’
예전에 일본인들은이사부 기록을 허구라고 몰아세웠으나 이건 분명히 역사적 사실이다. 지금까지 연구한 성과를 보면, 한반도 해안지방에서 건너간 사람들이 세운 것으로 추정되는 우산국은 울릉도와 독도, 그리고 그 주변을 둘러싼 동해 바다를 기반으로 살아가던 소규모의 해양왕국이다. 우산국의 도읍지는 울릉도 북동쪽, 지금의 북면 현포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이곳에 촌락과 7개의 석불과 석탑 등이 있었고, 19세기 말 개척 때만 해도 석실고분이 무려 40여 기가 있었다. 지금도 10여 기의 고분이 남아있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