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군과 광해군 [역사 속으로 ] | choidk765 |
인장보감 > 고조선/조선왕조 | |
스크랩 : 1 조회수 : 99 |
바로 연산군과 광해군이다. 이들은 과연 무엇을 잘못했길래 이런 수모를 당했을까? 이들의 생애를 추적해 본다.
연산군의 생애 그는 즉위 후 3년 동안은 별탈 없이 보냈으나, 어린 시절을 고독하게 보낸 연산군은 왕으로 등극하면서 자신의 내면에 숨겨져 있던 광폭한 성격을 어김없이 표출하기 시작했다. 12년 집권기 중 두 번에 걸친 사화를 통해 엄청난 인명을 죽이는가 하면, 자신을 비판하는 무리는 단 한 사람도 곁에 두지 않는 전형적인 독재군주로 군림했다. 게다가 여염집 아낙을 겁탈하고 자신의 사냥에 방해된다는 이유로 민가를 철거하는 등 극악무도하고 패륜적인 행위를 서슴지 않았다.
▶ 1498년 훈구파(勳舊派) 이극돈(李克墩)·유자광(柳子光) 등의 계략에 빠져, 사초(史草)를 문제삼아 김종직(金宗直) 등 많은 신진 사류(士類)를 죽이는 최초의 사화인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켰다. 1504년에는 생모인 폐비 윤씨가 성종의 후궁인 정씨(鄭氏)·엄씨(嚴氏)의 모함으로 내쫓겨 사사(賜死) 되었다고 해서 자기 손으로 두 후궁을 죽여 산야에 버리는 포악한 성정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또한 할머니 인수대비(仁粹大妃)를 구타하여 죽게 하고, 윤씨의 폐비에 찬성하였다 하여 윤필상(尹弼商) 김굉필(金宏弼) 등 수십 명을 살해하고, 이미 죽은 한명회(韓明澮) 등을 부관참시(剖棺斬屍) 하였다(甲子士禍).
▶ 그는 막상 모든 권력을 손아귀에 쥐게 되자 문신들의 직간이 귀찮다는 이유로 경연과 사간원, 홍문관 등을 없애 버리고, 정언 등의 언관도 혁파 또는 감원하였으며, 기타 모든 상소와 상언, 격고 등 여론과 관련되는 제도들은 남김없이 철폐해버렸다. 또성균관, 원각사 등을 주색장으로 만들고, 불교 선종의 본산인 흥천사를 마굿간으로 바꾸었으며, 그의 난행을 비방한 투서가 언문으로 쓰여지자, 한글 교습을 중단시키고 언문구결(諺文口訣)을 모조리 거두어 불태웠다. ▶ 한편, 각도에 채홍사(採紅使)·채청사(採靑使) 등을 파견해서 미녀와 양마(良馬)를 구해오게 하고, 성 균관의 학생들을 몰아내고 그곳을 놀이터로 삼는 등 황음(荒淫)에 빠졌다. 경연(經筵)을 없애 학문을 마다하였고, 사간원(司諫院)을 폐지해서 언로(言路)를 막는 등 그 비정(秕政)은 극에 달하였다. 이런 폭정의 결과로 그는 국민적 저항을 받는 희대의 폭군으로 인식되었고, 급기야 1506년 성희안(成希顔) 박원종(朴元宗) 등의 중종반정에 의해 폐왕이 되어 강화도의 교동(喬桐)으로 쫓겨나고, 연산군으로 강봉(降封)되어 그해에 병으로 죽었다.
▶ 그의 치세는 개국 100년만의 조선조에 한 시대의 획을 긋게 하여, 이후 50년은 사화(士禍)라는 유혈극이 잇따라 일어나 그것은 선조 이후 다시 붕당(朋黨) 및 붕당정치로 확대 악화되고, 한편으로는 임진·병자 등 국난으로 국운은 쇠퇴의 길을 밟게 되었다.
광해군의 생애 선조의 장자이자 광해군의 형인 임해군(臨海君)은 광포하고 인망이 없었기 때문에 광해군이 세자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1606년 선조의 계비(繼妃) 인목왕후(仁穆王后)에게서 영창대군(永昌大君) 의(俎)가 출생하자, 선조는 영창대군을 세자로 책봉하여 왕위를 물려주려 하였고, 소북(小北)의 유영경(柳永慶)도 적통론(嫡統論)을 내세워 선조를 지지하였다. 그러나 선조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유영경의 척신정권(戚臣政權)에 대한 의도는 사류사회(士類社會)의 지지를 얻지 못하여 유영경은 주살되고, 소북파는 몰락하였다.
▶ 유영경의 세자 교체기도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나선 것은 그에 의해 축출되었던 북인의 다른 계열인 이산해(李山海)·이이첨(李爾瞻)·정인홍(鄭仁弘) 등이고, 이들은 광해군이 즉위함에 따라 정통을 지지한 공로로 중용되어 대북(大北)이라 하였다. 1608년 즉위한 광해군은 당쟁의 폐해를 알고 억제하려다가 오히려 대북파의 책동으로 임해군,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아버지인 김제남(金悌男), 영창대군·능창대군(綾昌大君) 전(佺) 등을 역모로 몰아 죽이고, 인목대비는 폐서인(廢庶人)하여 서궁(西宮)에 유폐시켰다.
인조반정(仁祖反正)을 단행하여, 이이첨·정인홍을 죽이고, 광해군을 폐위시켰다. 그들의 반정 명분은 광해군이 사대를 거부하고 계모 인목대비를 유폐했다는 것이었다. 폐위된 후 광해군은 강화도에 안치되었다가 다시 제주도에 이배되어 18년 동안 생을 연명하다가 죽음을 맞이했다. 이 기간 동안 광해군은 아주 초연한 자세로 지냈던 것으로 전해지며, 1641년(인조 19년) 6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떴다.
▶ 다른 각도에서 본 광해군의 치적 광해군은 민생 안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기도 하였다. 광해군은 등극하자마자 1608년 선혜청을 설치하고 경기도에 대동법을 실시함으로써 민간의 세금 구조를 일원화 시키고 세무 부담을 줄여주었다. 1611년에는 농지를 조사하고 측량하여 실제 작황을 점검하는 정책인 양전을 실시하여 경작지를 확대하고 국가 재원을 확보하기도 했다.
또한 선조 말에 시역한 창덕궁을 즉위년인 1608년에 준공하고, 1619년 경덕궁(또는 경희궁), 1621년에는 인경궁을 중건하였다. 이 과정에서 인력을 무리하게 동원하는 일이 생기기도 해 민간의 원성을 사기도 했지만 당시 상황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임진왜란으로 궁궐이 완전히 소실되어 국사를 월산대군의 서가에서 논의해야 할 지경이었기 때문이다.
이 무렵 동북아의 국제 정세도 급변하고 있었다. 만주에서 여진족의 세력이 커져 후금을 건국하자 그에 대비하여 대포를 주조하고 국방을 강화하는 한편, 명나라의 원병 요청에 따라 강홍립에게 1만 군사를 주어 응하게 했다. 그러나 부차 싸움에서 명나라가 후금에 패하자 적당히 싸우는 체하다가 후금에 투항해 누루하치와 화의를 맺도록 하는 능란한 양면 외교 솜씨(등거리 외교)를 보였다. 강홍립은 후금에 억류되어 있으면서 계속해서 광해군에게 밀서를 보내고 있었다. 이 밀서 덕택으로 조선은 후금의 동정을 낱낱이 파악할 수 있었고, 그렇게 파악된 정보에 따라 대책을 세워 후금의 대대적인 침략을 예방하고 있었다. 이러한 광해군의 실리 외교론은 일본과의 관계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이로써 임진왜란 이후 악화되었던 일본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전쟁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당시 일반에는 이씨 왕조의 기운이 다해 정씨 왕조가 들어설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하게 퍼져 있었고, 이는 민심을 동요시키는 주된 요인이 되었다. 또한 한성이 전란으로 완전히 소실된 상태였기 때문에 복구 사업에 엄청난 재원과 인력이 필요했다. 그는 민간에 널리 유포된 정씨왕조설을 일소하고 임진왜란의 악몽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약을 위해 도성을 파주의 교하로 옮길 것을 결정했다.
교하는 위치적으로 볼때 임진강을 끼고 있어 물 사정에 어려움이 없고 대평야로 둘러싸여 있어 식량을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곳이었다. 또한 중국과의 해상 교통이 가능한 지역이어서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기에도 적당했다. 군사적으로 보아도 한성보다 안전한 위치였다. 즉 한성보다 지리적으로 북쪽에 있어 일본의 위협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날 수 있고, 임진강이 가로막고 있어 중국의 침략을 방어하기에 제격이었다. 또한 주위의 산이 낮아 산성으로 사용하기에도 안성맞춤이었다. 물론 중국과 해상로가 가까워 수군에 의한 위협이 있는 곳이긴 했으나 근본적으로 중국은 해상전에 약한 국가였기에 그다지 염려할 바가 못 되었다.
결국 시행되지 못하고, 축성 작업에 동원된 백성들의원성만 높아지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광해군의 이 천도 계획은 당시의 상황으로서는 여러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 주는 아주 기발한 착상이었다. 요컨대 광해군은 밖으로는 철저한 실리주의 외교 노선을 걸었고, 안으로는 강력한 왕권 체제하에서 부국강병의 길을 모색했던 것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용비어천가」, 「동국신속삼강행실」 등을 다시 간행하고, 「국조보감」을 다시 편찬하여 정사 운영의 방향을 확립했고, 실록 보관을 위해 적상산성에 사고를 설치하여 임진왜란 때 소실된 네 곳의 사고를 대신했다. 한편, 이 시대에 허균의 「홍길동전」, 허준의 「동의보감」 등이 나와 문학과 의학 부분에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1616년에는 류큐로부터 담배가 수입되기도 했다.
|
'역사 속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대왕의 宗 과 세조의 祖 는 ? (0) | 2008.11.29 |
---|---|
한민족의 고대사 (0) | 2008.11.29 |
사진으로 본 건국 60년, 60대 사건(3) (0) | 2008.11.27 |
사진으로 본 건국 60년,60대 사건(2) (0) | 2008.11.27 |
사진으로 본 건국 60년, 60대 사건(1) (0) | 2008.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