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은 재미 넘치는 보물창고
7개 국어에 능통했던 신숙주
보통 4~5개의 국어에 능통한 사람을 보고도 천재라고 극찬을 한다. 그런데 한 사람이 7개 국어를 할 수 있다면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바로 조선조에 영의정을 지낸 범옹 신숙주가 주인공이다. 정치적인 얘기는 접어두고 학자적으로만 평가한다면 그는 뛰어난 언어학자였으며 한국 최초의 일본 관련책 해동제국기를 저술하는 등 어문학에 많은 족적을 남겼다. 그는 특히 설총의 이두문자는 물론 중국어, 몽고어, 여진어, 일본어 등에 능통했으며 인도어, 아라비아어까지도 터득했다고 한다. 명문가답게 일제하 독립투쟁의 주역들인 단재 신채호, 신규식 선생 등이 그의 후손들이다.
76세에 처음 장가들고 99세까지 장수한 홍유손
조선시대 하면 사내아이는 보통 10세를 넘으면 장가를 가게 되는데 무려 76세의 죽을 나이에 첫장가를 가고 아이를 얻었다는 기록이 있다. 장본인은 홍유손. 그는 소위 죽림칠현으로 속세를 떠난 청담파를 자처하는 인물이다. 76세에 장가를 들어 아들 지성을 낳고 99세까지 살다간 조선시대 기인중의 한명이다. 같은 죽림칠현이자 생육신이었던 남효온은 그를 평해 글은 칠원같고 시는 산곡을 누빈다고 하였다. 그는 거의 기인에 가까웠으며 특히 세조가 정권을 잡은 후 김시습, 남효온 등과 어울리면서 세상을 비관하고 냉소로 일관하면서 풍자적인 인생을 살았다. 99세의 천수를 누린 그는 역사 인물사전에 나오는 최장수 인물이 되고 있다.
왕의 얼굴 한번 보지도 않고 정승에 오른 윤증
그는 과거에 급제하지 않았다. 우암 송시열의 제자로 당쟁의 한축이었으며 재야의 막후 실력자 소론의 영수였다. 윤증은 왕의 얼굴 한번 보지 않고 우의정까지 올랐던 우리나라 역사상 단 한명밖에 없는 인물이었다. 그가 과거에도 응시하지 않았는데 그가 받았던 관직을 보면 36세때 내시교관부터 공조정랑, 사헌부 지평, 호조참의, 대사헌, 우찬성, 좌찬성, 83세때 판돈녕부사까지 계속 관작이 승진되면서 제수받았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어쨌든 그는 출사하지도 않은 채 재야에서 일정한 세력을 등에 업고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한번도 조정에 나가지 않고 왕의 얼굴도 보지 않으며 정승이 되는 진기록을 남겼다.
아홉번 과거시험에 모두 장원급제한 한국사의 천재 이율곡
한국의 역사상 현인의 경지에 근접한 인물을 꼽으라면 관점의 차이는 있겠지만 율곡 이이 선생을 꼽는데 누구도 주저하지는 않을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율곡 선생은 9번 과거시험에 모두 장원급제한 인물이다. 우리 역사상 전무후무한 일이며 또한 예언자적 능력도 뛰어나 임진왜란을 미리 예견하고 10만 양병설을 주장했으며 정치, 경제, 국방 등 모든 분야에 식견이 탁월한 정치가요 사상가이며 교육자였으며 철학자였다. 그의 가문은 또 유명한 신사임당을 어머니로 둔 뿌리깊은 천재 가문의 집안이었으며 한국판 제갈공명, 한국정신사의 큰 산맥, 성리학의 대가 등 여러 가지 수식어가 따라다녔다. 그러나 천재는 단명이라고 했던가 그는 타고난 건강이 좋지 않아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마감했다.
조선왕조 역대 왕들의 기록
32년간 세자로 있었던 임금 - 순종 조선 마지막 왕인 순종 임금은 2세때에 세자로 책봉되어 32년간을 세자 신분으로 지냈다.
죽어서 왕이 된 인물 - 조선조에는 죽은 후에 왕으로 추존된 인물이 다섯명인데 덕종은 세조(수양대군)의 아들로서 세조 1년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전에 죽었다. 인수대비의 남편이며 슬하에는 월산대군과 성종, 명숙공주 등 3명을 두었다. 원종은 선조의 5남으로 1627년에 왕으로 추존됨. 인조 등 4남을 둠. 진종은 영조의 아들로 사도세자와 4촌. 6세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전에 죽었다. 양자인 정조가 즉위하자 진종으로 추존. 장조는 유명한 사도세자로서 영조의 둘째아들이며 정조의 아버지. 부인은 홍봉한의 딸인 혜경궁 홍씨. 당파싸움의 희생양이 되어 아버지 영조에 의해 죽음. 1899년 장조로 추존됨. 익종은 순조의 아들이며 헌종의 아버지. 4세에 세자로 책봉되고 19세때(순조 27년) 대리청정으로 참정하였으나 4년만에 죽고 뒤에 익종으로 추존됨.
가장 많은 아들을 둔 왕 - 세종대왕이 18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성종 16명, 2대 정종이 15명순이다. 딸은 태종(이방원)이 17명이며, 성종이 12명, 중종과 선조가 11명이었다.
왕비를 가장 많이 배출한 가문 - 청주 한씨가 1위(태조비, 신의왕후), (덕종비, 소혜왕후), (예종비, 장순왕후), (성종비, 공혜왕후), (예종비, 안순왕후), (인조비, 인열왕후)로 가장 많고 파평 윤씨와 여흥 민씨가 4명, 청송 심씨와 안동 김씨가 3명이다.
왕비중 가장 자식을 많이 낳은 왕비 - 세종대왕비 소헌왕후 심씨는 8남 2녀를 낳았다. 성종의 숙의홍씨도 7남 3녀로 공동1위이다.
가장 짧은 기간 재위한 임금 - 12대 인종이며 재임기간 9개월이었다.
가장 오랫동안 재위한 임금 - 21대 영조로서 51년 7개월로서 반세기동안 왕좌를 지켰다.
가장 단명한 임금 - 단종애사의 주인공 6대 단종으로서 17세에 사약을 받고 죽음.
가장 장수한 임금 - 21대 영조로서 83세까지 장수했다.
가장 많은 부인을 둔 임금 - 3대 태종과 9대 성종으로서 12명의 부인을 두었으며, 세종대왕은 6명이었다.
'역사 속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왕릉 (0) | 2009.03.19 |
---|---|
숙종대왕의 갈처사 (0) | 2009.03.17 |
[스크랩] [다큐멘터리]故 峨山 鄭周永(정주영) (0) | 2009.02.19 |
[스크랩] 100년전 한국,서울궁궐과 평양성곽 (0) | 2009.02.19 |
나치 독일의 총통 아돌프 히틀러 (0) | 2009.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