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年前 風物寫眞
김개남(1894) 전봉준과 함께 동학농민을 이끌고 봉기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4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08011a)
경인선 기차(1910) 기차를 타보기 위해 승객들이객차에 오르느라 소란을 빚고 있다.
기차를 처음타본 승객들은 기차가 정지하기전 뛰어내려 사고가 많았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2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0a1843)
소방대 발족(1920) 왼쪽 높은 망루에 서울시내를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가 있고,
긴급을 알리는 종이 매달려 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14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0da6fd)
기중기 도구(1900) 무거운 물체를 끌어올리기위한 도구로 성벽을 쌓는 돌 운반 역시 이런
방식으로 작업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11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1044a9)
여인의 가리개(1900) 여인이 왕골로 짠가리개를 쓰고 나들이하다가 양손으로
가리개를 받쳐 외면하고 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1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13e64e)
신행길(1890년) 방금 시집으로 가려는 가마를잡고 친정어머니는 딸에게
무엇인가 자상하게알려주고 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1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15f99c)
마을 장승(1900) 장승은 2개 세우는 법인데 마을 입구에 장승하나가 외로이 서있고
마을로 통과하는 전신주가 보인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9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18e793)
인천 일어학교(1894) 한국인 교사와 도포입은학생중앙에 일본인 교사도 보인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8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1b9b8c)
기생 소릿꾼(1900년) 지금의 가수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5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1e8137)
기생의 나들이 (1903년) 전속 가마꾼과 함께기념촬영하고 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15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22c160)
학동들의 야외학습(1904) 서당밖에 나와야외학습을 하고 있는 광경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14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25d670)
연자매(1900) 연자매는 맷돌을 소가 끌어돌리게 하는 정미시설이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7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2ac42b)
맷돌(1904) 콩이나 메밀등을 넣어 갈아주는수동식 믹서기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7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2e5e0f)
돗자리 짜는 노인(1900) 돗자리 짜기란 많은고르랫돌을매달아 한 가닥씩 엮어
나가는작업이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7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31aff7)
기녀위문(1905) 노일전쟁 당시 기녀들이일본군 막사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뒤쪽 천막에 일장기와 태극기가 그려져 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14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35941c)
토담쌓기(1905) 나무틀에 돌과 진흙을 혼합해서쌓고, 사진촬영을 위해 잠시 휴식하고 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8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38e7b0)
1904년 개화기의 졸업식 도포를 입고 갓을 쓴 두 훈장(선생님)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서있다
언더우드가 설립한 서당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1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3f09f6)
한강여객선(1910)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12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4af328)
서당풍경(1909) 훈장이 회초리를 들고 청마루에서 붓글씨를 감독하고 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1/13_cafe_2008_12_12_10_37_4941c036165e3)
남대문 전차 대기소(1919) 서울에 전차가 들어오면서 단발령시행에 실패한 일본은
전차회사 직원들에게 상투를 자르게 했다
서양식 모자를 쓰게 하므로서 전차가 몰고 온 개혁 바람은 한국의전통문화를 바꾸어 놓고,
운전수는 강제로 일본식 제복을 입혔다.
백립을쓰고 있는 것으로 보아 순헌(엄비)왕비 국상시기이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3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aec3d1)
여자궁도대회(1910)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6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b19ca2)
북간도 서당(1905) 어두운 방에서 플레쉬 없이촬영한 것이 신기하고
모두 한결같이 눈을 크게 뜨고 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16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b55d91)
신랑 신부의 상면(1903) 신랑의 가족들이 호기심으로 신부를 보고 있으나
신부의 가족들은 근심이 가득하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16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b9458f)
시집으로 가는 신부(1903) 가마를 탄 신부가 신랑집으로 들어서고 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11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bb4d0f)
서울의 전차(1903) 미국인 콜브란과 보스워크의한성전기회사에 의해
1898년 12월 전기궤도 부설공사가 완공되었다.
준공 직후 소아 사고로 전차를 불태운 사건이있었지만 각지로부터 전차를 타보기위해
서울로 몰려왔다. 정원은 40명이고, 중앙에는 양반이 이용하던특실이 있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13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be2fff)
널뛰기(1920) 한말때 여자가 바깥구경을 할때에는 널을 뛰어 담장밖 세상을 구경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15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c2ae12)
장승(1903년) 장승은 마을 어귀에 세워놓고수호신으로 삼았으며 동시에 이정표 역할을 했다.
또한 장승 앞에서 병의 치유를 빌던 풍습이있었다.
장승이 7개 사람도 7명으로 각자 기원하고 있다. 간절한 소망과소원을 얻기 위해선
굽어진소나무로 된 것이 효험이 있다고 한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11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c71ece)
구한말 결혼식(1903) 떠구지머리를 얹고 큰머리를 튼 후, 떠구지 댕기를 드리우고
큰 비녀를 꽂은 다음, 원삼을 받쳐 입고 혼례를 올리고 있다.
이 부부는 자식을 낳은 후 미국 선교사에 의해 결혼식을 거행하고 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14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ca99fb)
다듬이질 하는 여인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15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d27b4c)
마포 나루터(1910) 많은 새우젖 장수가 있고상권이 모여있는 선착장 주변이다.
서울도성까지 얼마 안떨어져 항상 많은물량이 거래되고 인천으로 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용산-인천 배삯은 상등은 2원 하등은 70전이며 증기선이 운항되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11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db936c)
이화학당(1910) 이화학당을 설립한 '서클랜드부인'은 오른쪽에서 가사실습을 감독하고 있다.
앞줄에 신발이 잘 정돈되어 있는 것이 특색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5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e198bc)
키질과 체질(1890) 우리여인들의 생활은노동에 시달렸으며 곡식을 찧고 키로 까부리며
체질하여 밥과죽을 쑤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9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e486bc)
여학교 실습(1910) 대구동산언덕에 있는선교사 저택에서 실습 나온 신명여학생들이
소년들에게 주먹밥을 나눠주고 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15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ea957b)
초등학교 운동부(1930) 대구 덕산초등학교학생들이 일본식 씨름대회에서 우승한 뒤
기념 촬영중
![](https://t1.daumcdn.net/cafefile/pds110/5_cafe_2008_12_12_10_39_4941c0aed1626)
서당 풍경(1900) 장죽(긴 담뱃대)을 문 근엄한훈장이 학생들과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 왼쪽에 공부를 못해 광에 갇힌 한 학생을친구가 돌아앉아 위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