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09년 청일 간 체결됐던 '간도(間島)협약'이 100년 된 4일 협약을 무효로 하고 간도를 되찾자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간도 되찾기 운동을 펼치고 있는 시민ㆍ사회 단체들은 향후 대규모 연대를 통해 간도 연구 활동과 영유권 회복 운동을 위한 재원을 마련하는 등 지속적인 대국민 홍보를 펼쳐나간다는 방침이다. 중국도 우리의 간도되찾기 열기에 술렁이고 있다.
한민족운동단체연합와 독립유공자유족회, 간도역사연구회 등 140여개 단체의 연합조직 '간도 영유권 회복을 위한 국민운동본부'는 이날 오전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간도를 되찾기 위한 정부와 국회 차원의 대응을 촉구하는 국민청원운동을 선포했다.
한민족단체연합 윤승길 사무총장은 "지난 100년간 간도에 대해 이렇다할 조치를 취하지 못했던 정부와 국회, 국민 모두가 반성해야 할 때"라며 "간도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함으로써 동북아 지역의 항구적 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1일 국제사법재판소에 간도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던 간도되찾기운동본부도 이날 오후 대한적십자사에서 간도학회, 국제법협회 한국지부 등과 함께 '간도의 날(9월4일)' 선포 4주년 기념행사와 특별 강연회를 열어 간도 되찾기 운동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인천대 노영돈 교수는 "여러 현실적 여건들을 감안하더라도 정부가 간도문제와 관련해 아무런 움직임도 취하지 않는 것은 국가 구성의 기본 요소라 할 수 있는 영토주권을 포기하는 것처럼 비쳐진다"며 "과거 역사의 정통성을 계승하는 차원에서라도 정부가 간도문제와 관련한 적극적인 정책과 자세를 견지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탄원서 제출 사실이 본지 보도로 처음 알려지자 '간도협약'이 주요 포털 사이트 검색순위 1위에 올랐으며 이 단체의 홈페이지는 네티즌 관심을 끌어 접속이 폭주, 한때 마비되기도 했다.
간도되찾기운동본부 육락현 대표는 "간도를 되찾고자 하는 마음은 국민 모두가 한뜻"이라며 "더 많은 국민들 더 나아가 국제사회에도 널리 간도문제를 알려 평화적 해결을 도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의 이같은 간도 되찾기 운동 열기와 관련해 중국의 관심도 커져 누리꾼들을 중심으로 간도와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토론의 장을 마련하는 등 간도문제가 중국에서도 공론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백웅기 기자(kgungi@heraldm.com)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순간이 다 꽃봉오리 인 것을 / 정현종 (0) | 2009.09.20 |
---|---|
비상할 날 (0) | 2009.09.18 |
간도협약 무효론에 中도 들썩…“도발이다”vs“신중하자” (0) | 2009.09.03 |
인정받기 (0) | 2009.08.30 |
행복 찿기 (0) | 2009.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