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줄 이유
나는 아주 어렸을 때 유아 세례를받았고 대학도 카톨릭 계통을 나왔다.
대학교 다닐 때 대부분의 교수님들은 외국인 신부님이셨고 그분들은
신앙인으로서 또는 스승으로서 완벽한 모범을 보여주셨다.
그러나 그분들을 본받지 못하고 그때나 지금이나 바로 코 앞에 있는
인간들 생각에 급급해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느님은 언제나 뒷전이다.
그러다보니 평상시에는 그저 나 편리한대로 살다가 아쉬울때만
하느님을 찾는 참으로 한심한 신자이다.
하느님 입장에서 보면 참으로 괘씸하실꺼 라는 생각도 들기도 하지만
쟤는 원래 그런 애려니 인간들을 너무 많이 만들다보니 별종도 나오는군.
내가 저렇게 만들었으니 할수 없지. 하시고 넓은 마음으로 이해하시리라
생각하고 양심의 가책도 별로 느끼지않는다.
그런 나도 가능하면 주일미사는 꼭 참석하려고 노력하는것이
첫째
지은 죄가 워낙 많은데 주일미사까지 빠지면 혹시 하늘에서 벼락이라도
떨어질까봐 께름직해서이고
둘째
일주일 동안 그야말로 꽁지 빠진 닭처럼 정신없이 돌아다니다 보면
겨우 주일미사때나 한번 어머니와 동생 식구들을 마주하는 샘인데
기회마저 놓치기 뭐하고
셋째
성경은 문학의 뿌리이고 특히 영문학 공부하는 사람에게 성경공부는
필수 조건인데 혼자 앉아 성경읽는 경우가 별로 없으니 미사 때 짧게
읽는 성경이나마 큰 공부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성당에 가면 잠시나마 나를 한번 돌이켜보고
일주일간 뒤죽박죽된 마음을 정리하는 시간이 된다.
지난 주일에는 식구들과 시간이 안맞아 혼자 저녁 7시 미사에 갔다.
그런데 신부님이 그날의 성경구절을 '나눔'의 메시지와 연결시켜
강론하시다가 갑작이 무엇이든 좋으니 옆사람과 나누어 보라고
하셨다.
그러자 사람들이 가방이나 주머니를 뒤적거리며 서로 나눌 물건들을
찾기 시작했다. 봉헌금만 가지고 달랑 맨몸으로 갔던 나는 당황했다.
아무리 주머니를 뒤져봐도 차 키 말고는 아무것도 없었다.
차키를 준다? 하, 말도 안되지. 그럼 뭐가 있을까. 궁여지책으로 내 몸뚱
이에 걸친 것들을 생각해 보았다. 목에 맨 스카프? 백퍼센트 실크이니 아마
2, ~3,만원 할걸. 귀고리를 말하자면 금.아닌가. 금 한돈쯤은 된다쳐도
5만원은 할것이다. 목걸이는 아마 그보다 더 비싸겠지? 대충 6,~7만원?
평상시 숫자라면 백치에 가깝도록 무능한 나의 두뇌가 '못 줄 이유' 를
찾기 위해서는 놀랍게도 섬광처럼 빠른 속도로 내가 지닌 물건들의 가격을
계산하고 있었다. 내 새끼 손가락에 끼워진 실반지, 이것은 가격으로 야
얼마 나가지 않겠지만 학생들이 해 준 선물이다. 못주지, 암 못주고말고
그럼 재킷? 낡긴 했어도 내가 제일 좋아하는옷이고 이맘때쯤이면 교복처럼
입는 옷이니 그것도 줄수없다. 그럼 거기에 꽂힌 브로치? 하지만 세트로 된것
이라 하나를 줘 버리면 나머지는 짝짝이가 될터라 그것도 못주겠고.....
옆에 앉으신 할머니는 이미 무엇인가를 내게 내밀고 있었다.어쩌나 어쩔거나
그런데 무심히 바지 뒷주머니에 손을 넣으니 아, 다행히, 너무 나도 다행히
며칠전 음식점에서 입가심으로 준 박하 사탕하나가 집혔다.
원래 박하 사탕을 싫어하기 때문에 먹지않고 그나마 버리는 수고가
아까워 그냥 넣어 두었던 물건이었다.
'주님, 감사합니다!'
아이로니컬하게도 나는 내게 필요없는 물건 아니 오히려 주어 버려서 속 시원한
물건을 발견하게 해 주신 데 대해 하느님께 감사하며 사탕을 할머니께 내밀었다
할머니도 무엇인가를 네 손에 쥐어 주었는데 그것은 아주 조그맣고 예쁜 병에 든
구심이라는 심장약이었다.
신부님은 작은 물건이라도 옆사람과 나누는 기쁨이 어떠냐" 고 물었다.
과연 사람들의 얼굴들이 환한 미소로 빛나고 있었다. 그러나 나는 미소를
담을수 없었다. 나는 항상 내가 신심은 부족해도 그런대로 하느님의 뜻에
크게 벗어나지 않게 선하고 올곧게 살아간다고 믿었다. 아니 어떤 때는 오히려
선하기 때문에 손해보며 산다고 억울하게 생각한적도 있다. 그런데 그건
순전히 구차한 자기 합리화였다.
옆에 할머니의 행색이 옹색해 보여서 날씨가 추운데 할머니 재킷이 내것보다
얇아 보여서 '구심' 을 내어 놓는 할머니의 마음이 너무나 고마워서 등 '줄이유'를
찾으려면 얼마든지 찾을수 있었는데도 겨우 조건 반사적으로 '못 줄 이유' 를
찾은 것은 아마도 이제껏 살아오면서 모르게 다져온 나의 마음가짐 탓일것이다.
살아가면서 누군가를 미워할때 그를 '용서 해야 할 이유' 보다는' 용서하지 못할
이유'를 먼저 찾고 누군가를 비난하면서 그를 ' 좋아해야 할 이유' 보다는 '좋아하지
못할 이유' 를 먼저 찾고 마음의 문을 꽁꽁 닫아 건 채 누군가를 '사랑해야 할 이유'
보다는 '사랑하지 못할 이유' 를 먼저 찾지는 않았는지.
나는 '구심' 병을 손에 꼭 쥐고 하느님께 용서를 빌었다.,
"주님 제 육체 속의 심장은 멀쩡히 뛰고 있지만 제 마음이 병들었나이다
제 마음을 고쳐 주소서 저에게 '구심'의 은총을 베푸시어 희고 깨끗한 마음을 주소서 ."
아멘
‘기차는 8시에 떠나네’ 김지연의 Raining Version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어도를 우리 영토로 만든 사람들 (0) | 2015.08.18 |
---|---|
인간의 노화는 언제부터!.. (0) | 2015.04.28 |
저작권법이 시행됩니다. (0) | 2015.03.28 |
한국 경제성장의 비밀 (0) | 2015.02.23 |
극일. 일본의 정교한 침탈 프로잭트 (0) | 201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