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교사
[ 反面敎師 ]
- 다른 사람이나 사물의 부정적인 측면에서 가르침을 얻는다는 뜻.
反 : 거꾸로 반
面 : 얼굴 면
敎 : 가르칠 교
師 : 스승 사
타산지석(他山之石)과 비슷한 뜻을 가지나, 그보다 의미가 더욱 직설적이다. 1960년대 중국 문화대혁명 때 마오쩌둥[毛澤東]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마오쩌둥은 부정적인 것을 보고 긍정적으로 개선할 때, 그 부정적인 것을 '반면교사(反面敎師)'라고 하였다. 즉, 이는 혁명에 위협은 되지만 그러한 반면 사람들에게 교훈이 되는 집단이나 개인을 일컫는 말이었다. 요즘은 보통 다른 사람이나 사물이 잘못된 것을 보고 가르침을 얻는 것을 말한다.
타산지석
[ 他山之石 ]- 다른 산에서 나는 보잘것없는 돌이라도 자기의 옥(玉)을 가는 데에 소용이 된다는 뜻.
他 : 다를 타
山 : 뫼 산
之 : 어조사 지
石 : 돌 석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일지라도 자신의 학덕을 연마하는 데에 도움이 됨을 비유한다. 《시경》 〈소아편(小雅篇)〉에 실린 '학명(鶴鳴)'의 '… 타산지석 가이공옥(他山之石 可以攻玉;다른 산의 못생긴 돌멩이라도 옥을 갈 수 있다네!)'라는 구절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이다.
절차탁마(切磋琢磨)라는 말과 함께 인간의 인격수양과 관련한 명구(名句)로, 흔히 '타산지석으로 삼다'라고 쓴다.
‘절차탁마’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뼈를 자르는 것을 절(切)이라 하고, 상아를 다듬는 것을 차(磋)라 하며, 옥을 쪼는 것을 탁(琢)이라 하고, 돌을 가는 것을 마(磨)라고 한다. 절차탁마는 귀한 기물을 만드는 것이다. 사람의 학문에 성취가 있으려면 뼈나 상아나 옥과 같이 절차탁마를 해야 한다.(骨曰切, 象曰磋, 玉曰琢, 石曰磨. 切磋琢磨, 乃成寶器. 人之學問知能成就, 猶骨象玉切磋琢磨也.)」(《논형(論衡) 〈양지(量知)〉》)
An Irish Blessing - Roma Downey & Phil Coulter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NPT 탈퇴하고 조건부 핵무장으로 / 2016. 9. 13 조선일보 (0) | 2016.09.13 |
---|---|
머릿속 계산기를버리자 (0) | 2016.06.02 |
을미 한 해를 보내며 (0) | 2015.12.31 |
이어도 (離於島) (0) | 2015.10.09 |
오비이락(烏飛梨落)의 교훈' (0) | 2015.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