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뵌 부모님 목소리가 변했다고요? 질환 알리는 신호
입력 2017.05.08. 03:02 댓글 0개
[동아일보]
50대 이후면 각종 퇴행성 질환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단순한 노화 현상이라며 무시할 게 아니라 평소 부모님을 찾아뵐 때 이상 징후가 있는지 잘 살펴야 한다. 동아일보DB |
2015년 국민연금공단이 50대 이상 4816명을 조사한 데 따르면 중·노년층이 퇴직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고령·질병 등으로 인한 건강 악화’(36.1%)였다. 사회적 차원의 노후 대책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꼽힌 것도 건강·의료 문제(44.3%)이다. 그만큼 100세 시대 어버이날 ‘어버이’들의 가장 큰 걱정은 건강일 것이다. 이에 어버이날을 맞아 자녀들이 챙길 수 있는, 챙겨야 하는 부모 건강법에 대해 알아봤다.
○ 갑자기 좋아지는 시력도 안과 찾아야
눈은 일반적으로 40대 이후부터 노안 증세를 보인다. 젊었을 때는 수정체가 연하고 탄력성이 좋아 쉽게 두께를 조절할 수 있지만 40대를 넘어서면 수정체가 딱딱해지고 굳어 두께 조절이 쉽지 않다. 이 때문에 눈 질환이 있어도 노안으로 알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 등은 방치하면 실명에도 이를 수 있다. 부모가 아래 증상 중 3개 이상에 해당된다면 안과를 찾아야 한다. △조그만 글씨가 흐릿해 잘 보이지 않는다 △스마트폰을 보는 게 피곤하다 △눈앞에 안개가 낀 것처럼 침침하다 △가까운 사물을 보다 먼 것을 보면 초점이 잘 맞지 않는다 △갑자기 돋보기가 필요 없을 정도로 시력이 좋아졌다.
갑작스러운 목소리의 변화는 질환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다. 단순한 감기부터 후두염, 각종 암의 전조 증상까지 확인할 수 있다. 성대는 목의 좌우 양쪽에 있는데 말할 때 서로 밀착해 진동하면서 소리를 낸다. 이 성대 진동을 조절하는 후두신경은 뇌에서 시작해 후두, 갑상샘, 식도, 폐 등 가슴 주요 부위까지 이어진다. 이들 장기에 암이 생기면 후두신경에 전이돼 목소리가 변할 수 있다. 쉰 목소리가 나면서 사레도 자주 걸린다.
나이 들수록 성대 근육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주름이 생겨 거친 목소리가 나는 노인성 후두가 나타날 수 있다. 심해지면 폐렴이나 폐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니 부모님 목소리의 변화가 2주 이상 지속되면 가까운 이비인후과에서 검진을 받아야 한다.
○ 갑자기 굽은 허리 척추관 협착증 의심
아버님이라면 전립샘 비대증이 생길 나이. 전립샘 비대증은 전립샘이 커지면서 요도를 압박해 소변 보기가 힘들어지는 질환이다. 전성수 삼성서울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심해지면 콩팥까지 망가질 수 있다”며 “노화현상이 아니라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이니 의심되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전립샘암도 최근 발병이 늘고 있다. 50세가 넘은 부모님은 1, 2년에 한 번씩 전립샘특이항원(PSA) 혈액검사를 받도록 권한다.
어머님이라면 요실금을 확인할 것. 소변을 참지 못하고 흘리는 요실금은 중년 여성의 사회생활과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우울증이 올 수도 있다. 이규성 삼성서울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요실금은 일반적으로 질환이 아닌 증상이지만, 나이가 들면 신경 이상으로 방광이 저절로 수축해 생기는 절박성 요실금도 올 수 있어 진료를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 뇌중풍은 전조 증상, 치매는 체크리스트 확인
단일 질병 가운데 사망 원인 1위인 뇌중풍(뇌졸중)은 전조 증상이 명확하다. △신체 한 부분의 힘을 갑자기 못 쓰겠거나 감각이 둔하다 △시야에 문제가 생기고 한쪽 눈이 잘 안 보인다 △말이 잘 안 되거나 발음이 어눌하다 △갑자기 어지럽거나 휘청거린다 △전에 없던 두통이 있다. 이런 증상을 보인다면 뇌중풍일 가능성이 높으니 검사를 받도록 한다.
아마도 많은 부모님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환은 치매일 것이다. 자식들에게 큰 짐이 될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자녀들은 치매 증상을 숙지해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치매 가능성을 알아볼 수 있는 설문이 많으니 이런 것을 구해 확인해 보고 증상이 의심되면 바로 가까운 병·의원을 찾는다.
이미지 기자 image@donga.com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STI 과학향기]노화시계를 되돌리는 '회춘 묘약' 셋 (0) | 2017.05.21 |
---|---|
"운동 좀 하라" 몸이 보내는 신호 5 (0) | 2017.05.10 |
[최악 미세먼지④]'조용한 암살자' 맞서는 생활속 대비법 (0) | 2017.05.03 |
잘못된 식습관 '분노의 역류' 부른다 (0) | 2017.04.30 |
암세포만 골라 죽이고 사라지는 치료물질 개발 (0) | 2017.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