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쉽게 멍이 들면 건강에 문제있는건가요?(펌)|

shepherd2 2017. 12. 16. 09:31

쉽게 멍이 들면 건강에 문제있는건가요?(펌)| 피부관리 방법

덕수궁| 2010.08.25. 09:00

쉽게 멍이 들면 건강에 문제있는건가요? 지식머니 30

비공개 |2010-08-20

 
DaumFlash("http://imgsrc.search.daum-img.net/knowledge4/2010/flash/QuestionRecommend.swf","click=addRecommendCount&id=recommend_Q&count=5&aid=",59,49,"recommend_Q");

저는 평소 누가 때리지도 않았는데, 몸에 멍이 생겨여...

살짝만 때려도 멍이 잘들구여....

남들하곤 달리 피부가 약해서인지 멍이 잘드는거 같은데,

혹시 건강상에 문제가 잇는건가요?????

괜히 신경이 쓰이네여..

 

 


 
  • 계란한판님 02:25

    혈소판 수치가 낮아서 그런겁니다 .자가 면역성인지 특발성인지는 병원가서 검사해 보시는게 나을듯하네요 저도 그러려니 하다 어느날 입안에 혈관이 터저 군데 군데 자반이 생겨 놀라 검사했더니 혈소판 감소증이라더군요 일반 내과서 검사하면 가격도 얼마안하고 하루 이틀뒤 결과가 나오니 검사함 받아보세요.저처럼 심하면 애기 나을때나 지혈이 안되거나 하는 부분에서 큰 문제가 생길수도 있으니 .간절히 아니길 바라지만 그래도 꼭 피검사 함 받아 보세요. 제가 괜히 걱정되네요. 홧팅.. 댓글 Eodahr님 10.08.24
  • 아래 글들은 정말 잘못 알고 하는 대답들이군요. 피부에 멍이 잘드는 것은 위가 약하기 때문입니다. 즉 위병이라는 것이죠. 만약 멍이 들면 소고기를 다져서 환부에 붙여 보세요. 아마 하루 저녁이면 없어지는 효과를 보실수 있습니다. 위를 고치는 방법은 찬 물과 음식을 멀리하고, 보리, 밀, 계란, 닭고기, 개고기 등 신맛과 고소한 음식을 멀리하면 위가 좋아집니다.... 위몸 일으키기등 운동은 필수입니다. 님은 운동을 아마도 싫어하실것입니다...^^ 댓글
  • greenpeace님 10.08.24

    자반증이라고 아세요? 혈관의 탄력이 약하면 조그마한 자극에도 혈과니 터져 멍이 들어요 평소에 비타민C를 많이 먹5으면 괜찮아질거예요. 비타민 C는 혈관의 탄력에도 관여합니다. 시중의 비타민들의 대다수가 원유에서 추출한 화학비타민이기에 과용 복용시 간에서 해독하기 힘들어 또다른 질병이 발생할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병고치려다 병 얻는 분 아마 주위에서 많이 보실꺼예요. 혹 건강에 관심있음 연락주세요 auk9011@hanmail.net 입니다^^ 댓글
     
답변하기.
DaumFlash("http://imgsrc.search.daum-img.net/knowledge4/2010/flash/AnswerRecommend.swf","click=addRecommendCount&id=recommend_A_4E63r&count=7&aid=4E63r",83,77,"recommend_A_4E63r");

 

 

 

멍이 잘드는 현상의 원인에 있어서, "혈관조직이 약하다"는 의학적으로 잘 안 맞는 말입니다.


멍이라는 것은 피하에 출혈이 된 현상을 말합니다. 물론, 정상인들도, 자신도 모르는 가벼운 상처에 멍이 드는 경우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만, 님처럼, 눈을 비비는 정도에 멍이 든다는 것은 일상적인 경우로 생각하긴 힘듭니다.

피하에 남들보다 출혈이 잘되고, 또한 그 출혈이 남들보다 빨리 흡수되지 않고, 오래동안 남아 있다는 것은 혈액응고 시스템의 기능이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출혈이 되면, 혈액이 바로 응고가 되어, 더 이상의 출혈을 막는 것이 정상적인 작용인데, 이 기능이 약하면, 아주 작은 자극에도 출혈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런 경우 제일 먼저 할 것은 일반혈액검사(CBC)입니다. 중고등학교 때, 혈액응고에 혈소판이 관여한다는 거 배우신 거 기억나실 겁니다. 따라서, 혈소판 수치가 감소되어 있지는 않은 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혈소판 수치가 정상이라면, 혈액응고인자에 대한 검사들을 시행하여야 합니다(여기에 대해서는 이야기가 복잡해지므로, 여기서 말씀드리기는 어렵겠습니다).

어쨌든 간에 혈액응고 기능약화로 그냥 피부에만 멍이 들면, 보기가 그래서 그렇지 큰 문제는 아니지만, 뇌출혈이나, 내장출혈등 중요장기에 출혈이 발생하면, 생명에도 영향을 줄수가 있습니다.

윗분은 별로 큰 병이 아닐 것이라고 말씀하셨지만, 의외로 심한 병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되도록 빨리 큰 병원의 혈액종양내과에 방문하셔서 검사를 받아보셔야 할 것입니다.

평소에 면역이 약하다고 하셨는데, 감기나 기타 염증이 잘생기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인지 모르겠는데요... 이 것이 만약 사실이라면 백혈구기능의 약화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조금 세게 말씀드리자면, 진짜로, 백혈구기능과 혈소판기능이 다 약화되어 있다면 이건 백혈병이나 림프종, 골수암계열을 반드시 생각해보아야하는 소견입니다. 물론, 님이 면역이 약하다고 하신게, 실제로 백혈구이상으로 인한 것일 경우에 한해서입니다.

물론, 멍이 잘드는 병이 백혈병만 있는 건 아닙니다.

그러나, 어쨌든 간에 님은 지금 안심하고 그냥 계시면 안됩니다.
큰 병원에 가서 반드시 검사를 받으실 것을 권합니다.
되도록이면, 대학병원급으로 가시고, 혈액종양내과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2010-08-24 13:28 |출처 : 본인작성
function formSubmitValidCheck(formId,textareaId) { if($(textareaId).value.trim() == "") { alert(‎"채택 이유를 남겨 주세요."); } else { $(formId).submit(); } }

DaumFlash("http://imgsrc.search.daum-img.net/knowledge4/2010/flash/AnswerRecommend.swf","click=addRecommendCount&id=recommend_A_4DsoW&count=1&aid=4DsoW",83,77,"recommend_A_4DsoW");

 멍이 잘들 때는 크게 두 가지로 그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혈소판에 문제가 있을 때, 두 번째는 폐에 이상이 있을 때입니다. 첫 번째의 이유는  혈소판에 이상이 있어 살짝만 부딪혀도 멍은 모세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조직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잘 생기며 아울러 간 기능에 이상이 있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두 번째는 폐에 이상이 있을 때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살짝 부딪혀도 피부에 멍이 잘 들 때는 폐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폐에 이상이 있을 때의 증세를 아래와 같이 언급하테니 만약 폐에 이상이 있는 기타 증세가 있다면 폐의 기능을 활성화 키켜주는게 좋겠어요.

 

*폐가 이상이 있을 때 

;피부에 멍이 잘든다

;으슬 으슬 춥다

;기침을 자주한다

;콧물을 흘린다

;피부에 윤기가 없다

;머리카락이 빠진다

;어께가 아프다

;무릎, 허벅지, 종아리, 발이 모두 아프다

;우울한 기분이 든다

;재채기를 자주 한다

;가려움증, 아토피성 피부염같은 것이 생긴다

;무좀, 습진이 생긴다

;눈물이 많아진다

;비관을 잘한다

;독재자의 성격을 갖는다

(위의 내용은 저의 책내용의 일부임)  

2010-08-20 15:53 |출처 : 아토피와 음양오행/vairus011
function formSubmitValidCheck(formId,textareaId) { if($(textareaId).value.trim() == "") { alert(‎"채택 이유를 남겨 주세요."); } else { $(formId).submit(); } }

DaumFlash("http://imgsrc.search.daum-img.net/knowledge4/2010/flash/AnswerRecommend.swf","click=addRecommendCount&id=recommend_A_4E5wb&count=0&aid=4E5wb",83,77,"recommend_A_4E5wb");

이런 경우도 있답니다.

저도 그런 경우가 종종있는데요.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분에게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아스피린은 피를 묽게 만들기때문에 그런 것이구요, 

혈전용해제를 복용하는 분에게서도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저는 심혈관시술을 한 이후 강고혈압제, 혈전용해제,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하고 있습니다.

저는 조금만 부딪혀도 몸에 어느부위이든 퍼렇게 멍이 든답니다.

특히 직업상 몸이 물건에 많이 부딪히는 일을 하다보니 몸에 멍이 가실 날이 없지요.  

만약에 이런경우가 아닌데도 멍이 잘 든다면, 혈소판에 이상이 생겼거나

다른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정밀한 검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2010-08-24 09:41 |출처 : 본인 

느티나무(har****) |답변 1 |채택률 100%

활동분야 : 해당 분야가 없습니다.
본인소개 : 입력된 정보가 없습니다.
DaumFlash("http://imgsrc.search.daum-img.net/knowledge4/2010/flash/AnswerRecommend.swf","click=addRecommendCount&id=recommend_A_4E7hM&count=0&aid=4E7hM",83,77,"recommend_A_4E7hM");

천안 느티나무 한의원 원장입니다.

 

보통 쉽게 멍이 드는 증상이 있는 경우 대부분 혈관이 약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혈관의 손상이 생겨서 출혈이 발생할 때 얼마만큼 빨리 이 출혈이 멈춰지는가 하는 것이 멍이 얼마만큼 잘 생기는지에 대한 관건이 될 것입니다.

 

흔히 심장질환이 있거나 중풍후유증이나 고혈압으로 인해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병원에서 처방해주신 약을 복용하는 환자분들이 약을 복용하는 것으로 인해 쉽게 출혈이 발생하여 멍이 자주 생기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멍이 쉽게 든다면 혈액응고 과정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혈소판과 관련된 혈액응고 과정에 이상이 있거나 혈액응고인자에 쓰이는 비타민 K와 혈관을 튼튼하게 해주는 비타민 C가 부족해도 멍이 잘 들 수 있는 것이지요.

 

또 스테로이드에 장기간 노출된 사람의 경우에도 피부가 약해지고 미세혈관이 많이 생겨서 멍이 들기가 쉬워집니다.

 

그외에 뇌의 신체에 대한 조절기능이 약화 되어 자주 사물에 부딪치게 되는 경우에도 멍이 쉽게 들 수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혈액과 관련이 있는 장기가 세 개 있습니다.

 

心主血(심주혈) 肝藏血(간장혈) 脾統血(비통혈)이라하여 간(肝), 심(心), 비(脾) 세 장기가 혈액과 관련이 있게 되는데 그중에서 출혈과 관계하고 있는 장기는 비장(脾臟)입니다.

 

위에서 멍이 잘 생기는 이유 중  마지막 경우처럼 지나치게 자주 부딛쳐서 멍이 자주 생기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대부분 멍이 잘 생기는 원인은 비장과 관련이 있게 됩니다.

 

비장은 음식물의 소화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온몸을 영양하는 중요한 장기입니다.

 

이 비장의 기능이 약해지면 혈액을 통섭하는 기능이 약해져서 출혈이 쉽게 일어나게 됩니다.

 

비장은 습하거나 지나치게 건조하거나 추운 기후에 쉽게 손상을 당하며 우울하거나 생각이 지나치게 많거나 자주 노여워하는 감정에 노출되어도 영향을 받아 나빠지게 됩니다.

 

또한 음식을 먹는 것에 절도가 없어 불규칙하게 식사를 하는 것도 좋지 않으며 과음하는 것 역시 좋지 못합니다.

 

그리고 비장은 우리몸을 영양하는 장기이기 때문에 과로하여도 약해지기 쉽습니다.

 

이러한 여러가지 이유로 비장이 약해질 경우 혈관에 대한 영향력을 잃어버리게 되므로 쉽게 멍이드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쉽게 멍이 든다면 단순히 멍이 자주 생기는 것뿐만이 아니라 비장의 문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화불량, 식체, 음식을 싫어하는 증상, 구토, 멀미, 위산역류, 지나친 공복감, 입안의 건조, 복부 팽만감, 설사나 변비, 복통과 같은 소화기 증상이나, 황달, 치통, 잇몸질환, 냉대하, 각종 내장하수, 코피, 장출혈, 토혈, 변혈, 사지 무력감, 가슴의 두근거림, 숨참, 얼굴의 창백함 등과 같은 다양한 증상들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멍이 자주 생기는 분들은 혈액과 관련한 질환의 여부와 비장의 질환 여부를 확인해보실 필요가 있을 것이므로 가까운 한의원과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옮긴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