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다 생기는 가위눌림 줄이는 생활습관은?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8.06.08. 13:05 수정 2018.06.08. 13:41
"잠을 자다 몸이 움직이지 않아 놀랐다" "목소리가 도저히 나오지 않았다" "누군가 귀에 대고 속삭이는 것 같았다"'가위 눌렸다'고 말하는 사람이 겪는 증상이다.
수면마비를 덜 겪기 위해서는 올바른 수면 습관과 충분히 자는 것이 우선이다.
잠들기 전 미지근한 물로 샤워해 몸을 충분히 이완시키는 것도 좋다.
똑바로 누워서 자는 것이 아니라 옆으로 자는 것만으로도 수면마비를 줄일 수 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렘수면 단계에서 마비된 근육이 제때 되돌아오지 않으면 가위눌림을 경험할 수 있다./사진=헬스조선DB
"잠을 자다 몸이 움직이지 않아 놀랐다" "목소리가 도저히 나오지 않았다" "누군가 귀에 대고 속삭이는 것 같았다"…'가위 눌렸다'고 말하는 사람이 겪는 증상이다. 가위눌림은 현대의학에서 '수면마비(sleep paralysis)'라고 한다.
우리는 잠잘 때 깊은 수면 단계인 렘(REM)수면과 비렘(NON-REM)수면을 반복한다. 사람은 렘수면 단계에서 꿈을 꾼다. 렘수면시 근육은 마비 상태가 된다. 근육이 마비되지 않으면 뇌가 현실과 꿈을 혼동해 꿈 내용을 직접 행동으로 옮길 수 있어서다. 후에 비렘수면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의식만 깨고 근육이 이에 맞춰 빨리 깨지 못하면, 의지와 다르게 자유자재로 움직이지 못하는 현상이 수면마비로 나타난다.
수면마비는 ▲불규칙한 수면습관 ▲수면부족 ▲스트레스 ▲시각적으로 강한 자극이 원인이 돼 나타난다고 알려졌다. 국내 한 이비인후과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면마비를 경험한 시기는 매우 피곤할 때(41.5%),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날(34.0%), 잠이 부족했을 때(31.1%), 공포영화나 무서운 장면을 목격했을 때(16.0%) 등으로 나타났다.
근육 마비는 보통 수 초~수 분 이내에 회복되므로 크게 두려워 할 필요는 없다. 수면마비를 덜 겪기 위해서는 올바른 수면 습관과 충분히 자는 것이 우선이다. 평소 스트레스를 덜 받아도 도움된다. 잠들기 전 미지근한 물로 샤워해 몸을 충분히 이완시키는 것도 좋다. 똑바로 누워서 자는 것이 아니라 옆으로 자는 것만으로도 수면마비를 줄일 수 있다. 바로 자지 않고 옆으로 자면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 등 수면을 방해하는 습관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목이 두껍고 짧다면 옆으로 자는 것이 좋다.
♬흐르는 곡 : 인생은 미완성 - 이진관♬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정보 .... ◎ 소금을 적게 먹어면 혈액이 썩는다 ◎ (0) | 2018.06.11 |
---|---|
80세에도 치매 걸리지 않는 비법 너무 간단해요. (0) | 2018.06.09 |
일본의사의 충격적인 고백 / 펌 (0) | 2018.06.05 |
고혈압·당뇨 걱정되면 식초와 친해지라 (0) | 2018.05.05 |
점점 증가하는 파킨슨병, 알아야 할 4가지 (0) | 2018.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