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내 삶과 문화

한옥 집짓기

shepherd2 2008. 10. 29. 14:58

떠오르는 웰빙주택 한옥 집짓기 [이것 저것 ]  choidk765
 marineplus 님의 이룸 > 자유게시판
스크랩 : 0   조회수 : 72

한옥 짓기

 

"한옥"의 공정은 공사현장의 상황, 공사시기, 집의형태, 건축주의 성향등에 따른 공사시방서에 따라 달라지는데 다양성 가변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사진위주의 간단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언제든지 연락주시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기초공사

기초공사에는 우리전통 방식의 입사 지정 다짐 기초와 콘크리트 독립기초, 줄기초, Mass con't 기초등의 시공법이 있는데 "우리집"에서는 콘크리트 줄기초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콘크리트의 사용여부가 전통적 방식이냐 아니냐부터 시작하여 환경적인가 아닌가 등의 많은 토의 문제가 있으나, 현대 문명의 장점은 필요 최소한의 범위에서 인정한다는 생각에서 시멘트 재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2. 목조공사

목조공사는 한옥에서 가장 중요한 공사로서 "우리집"에서는 비가림과 여러설비가 치목작업장(찾아오시는길 약도참조)에서 연중일기와 관계없이 하고 있으나, 벌목시기와 맞춘 가을에서 봄까지의 시기에 주로 치목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목재는 국산 陸松과 수입산 더글라스(Gold)입니다.


3. 지붕공사

지붕공사는 적심 채우기, 알매흙 얹기, 강회다짐, 방수공사, 기와 얹기의 과정이 있는데 루핑을 주로 사용하는 방수공사는 몇몇가지 이유에서 선호하지 않고 대신 기와시공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와는 한식골기와 평기와 및 시멘트기와 양식기와 銅기와 등이 있고 한식골기와에는 토기와, 철기와, 고령기와등이있는데 "우리집"에서는 골기와를 주로 사용합니다.

▲ TOP        

4. 벽체공사

한옥의 벽은 흙벽치기, 항토벽돌쌓기, 담틀형쌓기와 기타의 자재로 만들 수 있는데, 저희는 흙벽치기를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벽체공사는 초벽치기 맞벽치기 애벌미장 재벌미장 회미장의 순으로 진행되는데. 주재료인 흙은 오염이 덜 된 산에 있는 황토를 선호하며 흙을 체로쳐서 짚단을 잘게 썰어 썩고 흔히 해초라고하는 도박끓인 물로 이겨서 사용합니다.
애벌과 재벌미장시에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입도조정(휘트만 이론)을 위해 모래을 일정부분 배합하고 있으며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서는 모래와 함께 각종 세라믹 일라이트, 게르마늄, 맥반석등을 같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5. 바닥 및 마무리 작업

0. 바닥작업

바닥공사는 지반과 기초의 형식에 따라 습기차단공사부터 시작하는데 그후 바닥을 일정높이 까지 채우고 채우기 마지막 단계에서 숯,화성탄, 게르먀늄, 맥반석, 각종세라믹제, 백반등을 첨가하고 있으며 난방시설을 한 후 바닥미장은 흙미장을 주로 하며 욕실등에는 타일이나 옥등으로 마감을 하고 있므며 전기공사의 경우 전기배선은 모두 벽속으로하여 깔끔함을 추구합니다.

0. 문과 창호

문은 기성문의 사용을 피하고 자체공장에서 직접제작한 한옥살문을 위주로사용하고 있으며 나무는 결이곱고 향이 좋기는 하지만 뒤틀림과 수축이 많은 육송대신 Gold duglus 나 紅松을 주로사용합니다.


6. 조경과 담장공사

조경의 경우 개인적인 특성이 매우 많은 관계로 건축주의 성향에 맡기는 편이지만 우리가 선호하는 조경은 자연석 위주의 축 조성과 야생화가꾸기 위한 조경입니다. 담장은 돌축에 기와를 얹는 형식입니다.

'우리내 삶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가 아니더라도 제주는 아름다웠다  (0) 2008.11.06
농가 월령가  (0) 2008.10.29
한국의 굴뚝  (0) 2008.10.29
매미 ( 말매미)  (0) 2008.10.29
우리의 옛날 의식주 생활용품  (0) 2008.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