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콩나물조개탕
● 필요한 재료 콩나물 600g, 모시조개 400g, 마늘 2~3쪽, 국간장·생강즙 1작은술씩, 다진 마늘 ½큰술, 다진 파 1큰술, 홍고추 1개, 물 6컵, 소금 · 후춧가루 약간씩
● 이렇게 만드세요 1_모시조개는 충분히 해감을 빼고, 콩나물은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뺀다. 2_냄비에 편으로 썬 마늘을 넣고 물을 부은 뒤 콩나물을 넣어 끓인다. 3_콩나물이 어느 정도 익으면 ①의 조개를 넣고 조금 더 끓인다. 4_조개가 입이 완전히 벌어지면 국간장, 생강즙, 다진 마늘·파를 넣고 소금과 후춧가루로 간을 맞춘다. 그릇에 담아낼 때 송송 썬 홍고추를 띄운다.
|
|
▶ 배추속대국
필요한 재료 배추속대 600g, 대파 1대, 멸치다시마육수 6컵, 청양고추 2개, 홍고추 1개, 된장 3큰술, 국간장·참치액 1큰술씩, 다진 마늘 2큰술, 생강즙 1작은술, 소금·후춧가루 약간씩
이렇게 만드세요 1_배추속대는 깨끗이 씻어 물기를 털고 굵직하게 썬다. 2_냄비에 멸치다시마육수를 붓고 ①의 배추속대를 넣어 부드럽게 무를 때까지 끓인다. 3_②에 대파를 채썰어 넣고 된장, 국간장, 다진 마늘, 참치액, 생강즙, 소금, 후춧가루를 넣어 간을 맞춘 뒤 좀더 끓인다. 마지막에 송송 썬 청양고추와 홍고추를 넣어 국물 맛을 칼칼하게 낸다.
| |
|
▶ 매생이국
필요한 재료 매생이 1덩어리, 바지락 300g, 물 8컵, 마늘 3~4쪽, 생강 ½쪽, 소금·국간장 약간씩
이렇게 만드세요 1_매생이는 체에 담아 흐르는 물에 1~2번 깨끗하게 씻어 한 번 정도 자른다. 2_바지락은 깨끗하게 해감을 뺀 뒤 냄비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마늘과 생강을 넣고 끓여 뽀얀 육수를 만든다. 3_②의 뽀얗게 우러난 국물만 다른 냄비에 따라 팔팔 끓이다가 매생이를 넣고 잠시만 더 끓인다. 부족한 간은 소금과 국간장으로 맞춘다.
| |
|
속 더부룩할 때 무 홍합 맑은탕
재_료 무 250g, 홍합 200g, 실파 30g, 붉은 고추 1개, 다시마 10×10㎝ 1장, 다진 마늘 ½큰술, 다진 생강 1작은술, 멸치액젓·국간장 1큰술씩, 소금 약간
만_들_
기 1 무는 껍질을 벗겨 1㎝ 폭, 5㎝ 길이, 1㎝ 두께로 도톰하게 썬다. 2 홍합은 옅은 소금물에 담가 해감한 뒤 껍질을 비벼 씻고 잔털을 제거한다. 3 실파는 4㎝ 길이로 썰고 붉은 고추는 동글게 저며썬다. 4 냄비에 찬물 5컵과 다시마를 넣고 끓이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다시마는 건지고 무와 홍합을 넣어 끓인다. 5 홍합이 입을 열고 무가 투명하게 익으면 다진 마늘, 다진 생강, 멸치액젓, 국간장을 넣는다. 6 국물이 한소끔 끓으면 실파와 붉은 고추를 넣어 살짝 더 끓여 낸다.
| |
|
 | 얼굴 퉁퉁 붓고 울렁울렁~, 무를 쏙~
무에는 해독을 도와주는 베타인 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데, 이 성분이 숙취를 해소하고 간도 보호해준다. 또 술 마신 다음날은 위의 기능이 둔해져 얼굴이 퉁퉁 붓고 속이 불편한데 이때 무즙을 밥 한 공기 분량 정도 갈아 마시면 좋다.
술병이 사람 잡네~ 북어로
북어에는 아스파라긴산과 메티오닌이란 α-아미노산이 들어 있어 간의 피로를 덜어주고 해독 작용을 한다. 또 알코올이 제대로 분해되지 않으면 숙취의 원인이 되는 아세트알데히드 성분이 몸 안에 쌓이게 되는데, 북어에 들어 있는 비타민 A·B₁· B₂와 니아신 등이 이 성분을 배출시켜 숙취 해소를 돕는다.
이걸 넣어주면 더 시~원하다
콩나물 알코올 분해에 가장 효과가 뛰어난 아스파라긴산이 많이 들어 있는 최고의 해장 식품. 콩나물국을 끓일 때는 멸치 국물보다 그냥 물로 끓이는 것이 좋고, 국간장보다 소금으로 간해야 맛이 깔끔하다.
김치 김치의 주된 발효균인 유산균이 숙취를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겨울에는 술 마신 뒤에 동치미 국물을 한 사발 마셔도 도움이 된다.
홍합 간을 보호하는 타우린 성분이 풍부해 술안주로 좋은 음식. 홍합은 너무 오래 익히면 살이 퍽퍽해져 맛이 없으므로 센 불에서 단시간에 익히는 것이 좋다.
쇠고기 간 건강에 필수 영양성분인 비타민 B₁, B₂가 많이 들어 있다. 쇠고기로 해장국을 끓일 때는 시원한 맛을 내는 무나 파, 얼갈이배추를 함께 넣는 것이 좋다.
북어국 더 맛있게 끓이는 요령 1 통북어는 여러 번 두드려 단단한 살을 연하게 만든 뒤 국을 끓여야 북어의 시원한 맛이 잘 우러난다. 2 북어국은 참기름의 고소한 맛과 잘 어울리므로 국을 끓일 때 참기름으로 먼저 볶은 뒤 끓인다. 이때 참기름을 너무 많이 넣으면 쓴맛이 날 수 있으므로 약간만 두른다. 3 북어포를 커터에 갈아 보푸라기를 만든 뒤 북어국 끓일 때 넣으면 북어 맛이 더 잘 살아나 맛있는 국이 된다. 북어보푸라기는 다른 국이나 반찬에도 활용할 수 있다.
과음 후엔 수분, 당분이 풍부한 음식이 좋다 빠른 해장에는 수분과 당분이 필수. 따라서 꿀물, 아이스크림, 과일 등도 숙취에 많은 도움이 된다. 차 중에서는 알코올 분해 효소가 풍부한 녹차와 칡차가 효과가 있다. 또 강장 효과가 있는 굴이나 위를 보호하는 밤도 과음 후에 좋은 음식이다.
| | |
|
 | 탄산음료 찾는 남편에게 북어 무 속풀이국
재_료 마른 북어 1마리, 무 200g, 굵은 파 ½대, 붉은 고추 2개, 국물멸치 40g, 다시마 10×10㎝ 1장, 고춧가루 2큰술, 다진 마늘 ½큰술, 다진 생강 1작은술, 국간장 1큰술, 굵은소금 ½작은술
만_들_기 1 북어는 머리를 자르고 몸통에 붙은 껍질을 벗겨낸 뒤 3~4㎝ 폭으로 큼직하게 썬다. 2 무는 2×3㎝ 크기로 납작하게 썰고 굵은 파와 붉은 고추는 어슷썬다. 3 북어 머리는 물에 한 번 헹구고 멸치는 내장과 머리를 제거한다. 4 냄비에 멸치를 넣고 달달 볶다가 물 5컵을 붓고 북어 머리와 다시마를 넣어 끓인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다시마는 건지고 은근한 불에 10분 정도 더 끓인 뒤 체로 건더기를 건져낸다. 5 ④의 국물에 무와 고춧가루를 넣고 한 번 끓인 뒤 북어를 넣는다. 6 무와 북어가푹 익으면 다진 마늘, 다진 생강, 국간장, 굵은소금을 넣어 맛을 낸 다음 굵은 파와 붉은 고추를 넣고 살짝만 끓여 낸다.
P/O/I/N/T 고춧가루와 생강, 마늘로 얼큰하게
속풀이에는 역시 얼큰한 국물이 최고. 처음부터 고춧가루를 넣고 끓여 칼칼한 맛을 내고 생강을 넣어 북어의 비린 맛을 잡는다. |
 |
북어콩나물국이 술을 좋아하는 남편 덕분에 이젠 연말연시 단골 메뉴가 되었다. 살만 도톰하게 찢은 다음 물에 씻어 참기름과 청주로 밑간 하여 넣으면 더욱 맛있다고 자신만의 비결을 살짝 공개하는 은영 (33세,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씨. 알탕 또한 그녀가 남편을 위해 마련하는 특별 메뉴이다. 시원한 국물에 통통한 알이 술자리 후 까끌한 입맛을 되찾아준다.
곽미정 (33세, 서울시 동작구 신대방동)씨의 맛내기 비법은 바로 다시마 국물. 다시마를 넣고 끓여서 10분 정도 국물을 우린 다음 다시마를 건져내고 한 번 더 끓이면 시원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콩나물무국도 술자리가 있은 다음날이면 그녀가 자주 준비하는 요리 중 하나다. 조리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국물에 밥을 말아주면 지원 (4세)이도 좋아해서 밥 한 그릇을 뚝딱 비운다고. 덕분에 평소에도 자주 준비하는 요리이다. |
알탕 ●오도독 씹히는 알이 영양 만점! 이렇게 준비하세요 명란 100g, 애호박 ¼개, 청·홍고추 1개씩, 콩나물 30g, 다시마물 3컵, 대파 1대, 다진 마늘 1큰술, 새우젓·청주 1작은술씩 이렇게 만드세요 01_ 명란은 체에 받쳐 소금물에 흔들면서 씻어둔다. 02_ 애호박은 사방 2㎝로 도톰하게 썰고, 청고추와 홍고추는 가늘게 채 썬다. 대파는 큼직하게 썬다. 03_ 콩나물을 다듬어 씻어 냄비에 담고 다시마물을 부어 삶는다. 04_ 콩나물이 익으면 애호박, 고추, 대파, 새우젓, 마늘, 청주를 넣고 끓이다가 명란을 넣고 끓인다.
북어콩나물국 ●쓰린 속을 풀어주는 간편 해장국 이렇게 준비하세요 북어포·콩나물 100g씩, 대파 1대, 양파 ¼개, 다진 마늘·고춧가루 1작은술씩, 물 6컵, 소금·후춧가루 약간씩 이렇게 만드세요 01_ 북어포는 물에 불려 물기를 꼭 짜고 참기름과 소금으로 조물조물 무쳐 밑간 한다. 02_ 콩나물의 머리와 꼬리 부분을 다듬고, 대파와 양파는 채 썬다. 03_ ①의 북어와 마늘, 고춧가루를 볶다가 북어가 익으면 양파와 대파, 콩나물을 넣고 물을 부어 끓인다. 04_ 북어와 콩나물이 익어 담백하고 시원한 맛이 나면 소금으로 간을 한다. |
TD>
콩나물무국 ●시원한 국물이 해장국으로 일품 이렇게 준비하세요 콩나물 150g, 무 100g, 멸치다시다물 4컵, 실파 5대, 다진 마늘 1작은술, 소금·후춧가루 약간씩 이렇게 만드세요 01_ 콩나물은 다듬어 씻은 다음 냄비에 소금을 약간 넣고 뚜껑을 덮어 삶는다. 02_ 무는 5㎝ 길이, 나무젓가락 크기로 썰고 실파는 송송 썬다. 03_ ①의 콩나물이 삶아지면 뚜껑을 열고 무와 멸치다시다물, 다진 마늘을 넣고 끓인다. 04_ ③의 국에 소금, 후춧가루로 간을 맞추고 무가 익어 구수한 국물이 완성되면 송송 썬 파를 넣는다.
조개탕 ●담백한 국물이 속을 풀어줘요 이렇게 준비하세요 조개 200g, 쑥갓, 팽이버섯 80g, 붉은고추 1개, 대파 ⅓대, 다진 마늘 1작은술, 다진 생강 ½작은술, 다시마 약간씩, 소금 약간 이렇게 만드세요 01_ 냄비에 물을 붓고 다시마를 넣어 다시마물을 끓인다. 02_ 조개는 옅은 소금물에 담가 해감시킨 다음 여러 번 씻어 불순물을 없애고 체에 건져놓는다. 03_ 팽이버섯은 밑동을 자르고 대파와 붉은고추는 어슷썰기 한다. 04_ 다시마 국물에 대합을 넣은 뒤 끓인다. 조개 입이 벌어지면 팽이버섯과 쑥갓 잎과 붉은고추를 넣는다. 부족한 간은 소금으로 맞춘다. |
|
▶ 단호박주스
필요한 재료 단호박(손질한 것) 700g, 우유 3½컵, 시럽 1컵, 꿀 3큰술, 생크림 ½컵
이렇게 만드세요 1_단호박은 적당한 크기로 잘라 씨를 떼어내고 껍질을 벗긴 뒤 오목한 팬에 넣고 자작하게 잠길 정도로 물을 부어 푹 찐다. 2_믹서에 ①의 단호박, 우유, 시럽, 꿀, 생크림을 넣어 곱게 간다. 냉장고에 넣어 시원하게 두었다가 마신다.
단호박은요… 풍부한 식물성 섬유 펙틴이 이뇨작용을 촉진, 몸속에 쌓인 수분과 노폐물을 빼내 숙취 해소 효과가 있다.
| |
|
▶ 수삼두유
필요한 재료 두유 3컵, 수삼 3뿌리, 꿀 3큰술
이렇게 만드세요 1_수삼은 깨끗이 씻어 물기를 닦은 뒤 적당한 길이로 자른다. 2_믹서에 수삼을 넣고 두유를 부은 뒤 간다. 수삼이 약간 씹힐 정도로 가는 게 좋다. 마실 때 꿀을 넣는다.
수삼과 두유는요… 수삼두유를 매일 아침 한 잔씩 마시면 피로회복에 효과가 좋다. 두유와 꿀은 수삼의 쓴맛을 덜어주고 영양을 보충해준다.
| |
|
▶ 갈근차
필요한 재료 말린 칡뿌리 300g, 물 15컵, 꿀·대추채 약간씩
이렇게 만드세요 1_냄비에 칡뿌리를 넣고 물을 부어 중불에서 푹 끓인다. 2_진한 갈색과 향이 우러나면 불을 끄고 꿀을 타서 대추채를 띄워 마신다.
칡뿌리는요… 갈증을 없애주는 칡뿌리는 술 마신 뒤 수분 보충에 좋고, 평소 꾸준히 마시면 체력 보강에도 좋은 효과.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