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를 아시나요

“다리를 끊어서라도 막아라”…우리 손으로 무너뜨려야 했던 그곳, 민족의 비극 [사-연]

shepherd2 2023. 7. 9. 08:52

“다리를 끊어서라도 막아라”…우리 손으로 무너뜨려야 했던 그곳, 민족의 비극 [사-연]

한주형 기자(moment@mk.co.kr)입력 2023. 7. 9. 07:00
 
정부기록물과 박물관 소장 자료, 신문사 데이터베이스에 잠들어 있는 빛바랜 사진들을 열어 봅니다. ‘사-연’은 그중에서도 ‘길’, ‘거리’가 담긴 사진을 중심으로 그곳의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연재입니다. 거리의 풍경, 늘어선 건물, 지나는 사람들의 옷차림 등을 같은 장소 현재의 사진과 이어 붙여 비교해볼 생각입니다. 사라진 것들, 새롭게 변한 것들과 오래도록 달라지지 않은 것들이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과거의 기록에 지금의 기록을 덧붙여 독자님들과 새로운 이야기를 이어 나가고 싶습니다. 해당 장소에 얽힌 ‘사연’들을 댓글로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서울의 남과 북을 잇는 한강 다리 위를 걷다(1)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내려다본 한강과 한강 다리 전경. [한주형기자]
한강을 기준으로 반으로 나뉘는 서울, 지금은 수십 개의 다리들이 남북을 이어주고 있습니다. 아치교, 트러스교, 현수교 등 형태가 가지각색인데다 분수가 나오고 색색의 조명 불빛이 들어오는 등 개성 있는 모습으로 하나하나의 다리가 서울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화성능행도병>중 8폭 ‘노량주교도섭도’. 이 그림은 을묘년(1795년) 정조가 현륭원을 참배하고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마친 뒤 노량진의 주교를 건너는 장면을 용산 쪽에서 바라보고 묘사한 작품이다. [국립고궁박물관]
자, 이제 백년의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봅니다. 근대화 이전 변변한 다리조차 없던 시기, 이 넓은 강은 오가기에 얼마나 거대하고 막막한 장애물이었을까요. 유일한 이동 방법은 배편이었을 것입니다. 강을 따라 수십의 나루터가 있었고, 뱃사공들은 이 나루터를 기점으로 사람과 물자를 옮겼습니다. 임금과 그를 따르는 행렬이 선왕 능 행차나 온천 등에 갈 일로 강을 건너야 할 때면, ‘부잔교’를 임시로 세웠습니다. 큰 배 80여척을 가로로 이어 묶어 그 위에 널빤지를 깔아 길을 내어 도강할 수 있게 한 것입니다.

다시 현대로 돌아와서, 2023년 7월 기준 한강에 놓인 다리는 몇 개일까요. 곧 개통을 앞둔 경기도 구리시와 서울 강동구를 연결하는 대교(명칭 미정)를 포함해 총 33개의 다리가 한강을 따라 놓여 있습니다. 그중에서 서울시가 관리하는 교량이 22개이고, 나머지는 경기도에 위치해 있거나 경기도와 서울을 잇는 다리입니다. 오늘은 20세기의 시작과 함께 지어지기 시작한 한강 다리들의 이야기를 이어 보겠습니다.

최초의 근대식 교량, 한강철교
한겨울 얼어붙은 한강 위에서 시민들이 놀이를 즐기고 있다. 그 너머로 한강철교가 보인다. 1920년대 촬영. [서울역사아카이브]
한강 다리의 역사는 1900년에 준공된 한강철교로부터 시작합니다. 한강철교는 1896년 3월 미국인 제임스 모스가 고종으로부터 한강다리 부설권과 경인철도 부설권을 얻은 후 4년 만에 완공되었습니다. 개통 당시에는 용산과 노량진을 잇는 다리라는 점에서 ‘노량철교’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한강철교는 한강 위에 놓인 최초의 근대식 다리이자, 우리 역사상 최초의 신기술을 도입한 교량이었습니다.
철재 트러스를 가설하는 등 개량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1914년 한강철교의 모습. [서울역사아카이브]
한강철교의 완공과 함께 비로소 철도 시대가 개막합니다. 한강철교의 등장은 ‘한반도 교통혁명’에 준하는 일이었는데요. 경인선과 한강철교가 개통되기 전 육로로 12시간, 배편으로 8시간이 걸렸던 서울-인천간 이동이 완공 이후에는 1-2시간으로 단축되었습니다. 당시 경인철도합자회사에서는 “노량철교는 미국이 제작한 최신공법이요, 천하에 드문 것이고, 마치 길이 3,000척의 긴 무지개가 하늘에 걸린 것 같다.”라고 선전했다고 합니다.
1952년 7월 이승만 대통령이 기차에 시승하여 한강철교를 건너고 있다(왼쪽 사진). 오른쪽은 1957년 7월 한강철교 복선(C선) 복구 개통 기념식이 열리는 모습. [정부기록사진집]
한강철교는 자세히 보면 하나의 다리가 아닌 네 개의 철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강 상류 방향부터 한강철교 a,b,d,c로 이름 지어 관리합니다. 경부선 철도가 놓인 이후 운송량이 증가하면서 제2철교, 제3철교(b,c)가 놓입니다. 1950년까지 철로는 이렇게 a,b,c 3개였는데, 한국전쟁 당시 국군이 북한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모두 폭파했습니다. 손상된 철로들은 19년이 지난 1969년에야 복구되었습니다. 1994년 경인·경수 전동차선인 제4철교(d)가 개통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됩니다.
한강대교에 남은 민족사의 비극
1917년 10월, 한강에도 사람과 차량이 건널 수 있는 다리가 건설됩니다. 1984년 한강대교라는 이름을 갖기 전까지 이 다리는 ‘한강인도교’, ‘제1한강교’라고 불렸습니다. 왜 철교가 생긴 뒤 17년이 지난 뒤에야 인도교가 생겼을까요. 당시 도시 내 교통수단이 대부분 보행 위주였고, 화물은 철도와 지게로서 운송되었기 때문입니다. 민간용 영업차가 최초로 들어온 것이 1912년이었고, 이 때 이후로 보행과 차량 통행이 가능한 다리 건설 계획이 세워졌습니다. 앞서 이야기한 한강철교와 한강대교의 준공으로 용산과 노량진 일대가 급격하게 도시화되었고, 영등포가 서울 제2의 도심으로 급부상하게 되었습니다.

한강대교는 건설된 이후 두 번의 소실을 겪었습니다. 첫 번째는 1925년 을축대홍수 때입니다. 한강의 물길을 바꿀 정도의 기록적인 수해로 한강 교량들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중지도(현 노들섬)에서 용산 방향으로 건설되었던 한강대교의 소교와 한강철교의 일부가 물살을 버티지 못하고 붕괴되었습니다. 무너진 다리에 대교량 가설공사를 실시하였고, 한강대교는 1929년 규모를 확장해 다시 개통됩니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미 공군의 폭격을 받고 있는 한강철교(왼쪽)와 붕괴된 한강대교 아래 임시교를 통해 강을 건너는 피난민들의 모습. [미 국립항공우주박물관·국가기록원]
한강대교 교각에 남아 있는 한국전쟁 탄흔 자국. [서울시]
1950년 한국전쟁을 겪으며 한강대교는 다시 한 번 무너집니다. 6월 28일 전쟁 발발 3일 뒤, 한강대교는 엄청난 섬광과 폭음과 함께 폭발합니다. 국군이 북한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한강철교, 광진교와 함께 한강대교 2, 3, 5번째 교각 사이를 폭파한 것입니다. 폭파 장면을 목격한 미 군사고문단은 이로 50여대의 차량이 파괴되고, 500-800명의 인명이 희생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70여년이 지난 지금도 다리 하부에는 전쟁의 탄흔 자국들이 선명하게 남아 있습니다. 이렇게 한강대교는 전쟁의 아픔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1958년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한강대교 복구 준공식에 구름떼 같은 인파가 몰려 있다. [서울역사편찬원]
한편, 한강대교는 한강과 관련된 기상 및 수위 관측 표준점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한강 결빙은 한강대교 노량진 방향 2~4번 교각 사이의 상류 쪽 100m 지점이 얼었을 경우를 말하고, 한강대교 수위를 기준으로 8.5m가 넘으면 홍수주의보, 10.5m가 넘으면 홍수경보가 내려지곤 합니다. 그 이유는 1900년대 초부터 1998년까지 종로구 송월동에 기상청이 위치해 있었기 때문입니다. 기상청 관측관들은 종로에서 접근이 용이했던 한강대교에서 관측을 시작했고, 그 일관성과 정확도를 이어 가기 위해 지금까지도 이곳을 기준 관측 장소로 삼고 있는 것입니다.
1958년 상공에서 바라본 한강철교와 한강대교의 모습. [국가기록원]
1981년 노량진 일대에서 촬영된 한강대교와 한강철교(왼쪽)의 모습과 현재 흑석동 일대에서 바라본 한강대교와 한강철교의 모습. [서울역사아카이브·한주형기자]
‘사-연’은 매주 토요일 연재됩니다. 아래 기자페이지의 ‘+구독’을 누르시면 연재를 놓치지 않고 읽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