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땅(대한민국- Korea) 독도

독도 역사 연표/자료:독도 박물관

shepherd2 2009. 1. 3. 22:17

 

512 년  : 신라 하슬라주 군주 이사부 우산국 정별 독도 한국사에 편입.

1417년 :  울릉도 독도 주민거주 금지.

1432년 :  세종실록 지리지 편찬 "울릉도와 독도는 서로 거리가 멀지않아

             날씨가 맑으면 서로 바라볼 수있다"고 기록.

1693년 : 안용복 1차 도일.

1697년 : 대마도에서 "막부가 울릉도를 조선의 영토로 인정했다"고 알림.

1985년 : 일본 하야시 시헤이"삼국통람도설"에서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의 영토로 표기.

1875년 : 일본 육군 참모국 "조선전도" 작성 독도를 조선영토 송도(松島)로 표기.

1876년 : 일본해군"조선동해안도" 작성 독도를 조선영토로 표기 일본 시네마현 지도를 작성하면서

            독도를 시네마현에 지도에 포함시켜야 할지 여부 내무성에 문의.

            일본 내무성 독도는 조선영토라고 결론.

1877년 : 일본국가 최고 기관인 태정관(太政官)" 독도는 우리와 관계 없다"는 지령문 만들어 내무성에 보냄.

1900년 : 대한제국,울릉도 군수의 관할지역으로 석도(石島 독도)를 포함시킴.

1905년 : 일본 각의에서"독도는 무인도로서 다케시마(竹島)라고 칭하고 시네마현 관할아래둔다"고

            일방적으로 결정.

1945년 : 광복뒤 독도는 한국령 으로서 일본의 어로 제한선 바깥지역으로 구분됨.

1946년 : 연합국 최고사령부, 독도를 한국영토로 구분,"맥아더라인을 통해 일본이 독도에서

            고기잡이를 하지 말 것도 명기.

1950년 : 연합국 "일본영토 처리에 관한 합의서" 독도를 대한민국의 주권에 이양할 것 합의.

1952년 : 한국정부, 독도 영위권 재천명.

1954년 : 일본정부,독도 문제 국제사법 재판소에 위임제의 한국정부 거부.

1981년 : 울릉도 주민 최종덕씨, 최초로 독도에 주민등록 이전.

1982년 : 독도 일대를 천연기념물 336호로 지정.

1987년 : 독도 최초의 주민 최종덕씨의 사위가 독도로 주민등록  이전.

2003년 : 독도에 우편번호 (799-805)부여.

2008년 : 일본정부 "중학교 사회과목 새 학습 지도요령 해설서 "에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기술넣음.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에 독도가 자국영토라는 주장을 담은내용을 10개 국어로 게재함.